![]() |
제20회 김천국제가족연극제가 7일 극단 골목길 ‘해방의 서울’(연출 박근형) 폐막공연을 끝으로 10일간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.
‘연극, 다시 웃자’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지난달 29일 ‘마술가게’(연출 이우천) 공연을 시작으로 열흘간 총 15개 작품 26회 공연을 선보여 전체 8,066석 가운데 6,143석을 채워 관객점유율 76%를 기록했다.
코로나 이전까지 실내와 야외공연을 병행해오던 연극제는 20주년을 맞아 종전 아동극 경연대회 방식에서 초청 중심의 연극제로 전환하면서 역대 수상작과 음악, 무용, 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일반극이 공연됨에 따라 일반 관객들의 수요가 많아진 점이 눈에 띈다.
![]() |
특히 ‘아기도깨비’ ‘목 짧은 기린 지피’ 등 몇몇 인기 공연은 조기에 매진됨에 따라 대기자들이 속출하는 진풍경까지 자아내기도 했다.
매일 공연을 관람했다는 신음동 박강숙(42세)씨는 “양질의 공연을 저렴한 가격으로 볼 수 있어서 좋았다”며 “매일 설레는 마음으로 연극제 공연을 즐기며 유익한 시간을 보냈다”고 말했다.
![]() |
연극제가 직접 창·제작해 지도한 시민연극단 ‘서울 대전 대구, 김천 찍고!’ 공연과 지역 극단 삼산이수 ‘사랑에 관한 소묘’ 공연도 시민들에게 큰 웃음을 선사했다.
시민연극단에 참여한 형효진 씨는 “난생 처음 연극을 해봤다”며 “이렇게 큰 무대에서 연기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는데, 하고 나니 너무 감격스러웠다”고 큰 무대에 오른 소감을 밝혔다.
![]() |
또한 스텝으로 참여해 많은 공연을 보면서 지금까지 갖고 있었던 연극과 연기에 대한 좁은 인식들이 새롭게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됐다”고 소감을 밝혔다.
연극제 관계자는 “지금까지 아동을 동반한 가족들이 주 관객층이었으나 이번 연극제의 특징은 일반 관객이 많아졌다는 점”이라며 “연극제의 인지도가 일반층까지 서서히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 같다”고 덧붙였다.
한편 코로나 영향으로 해외공연과 야외공연 없이 극장 중심의 연극제로 진행된 이번 연극제는 내년부터 종전과 같이 경연과 초청, 실내와 야외 등을 병행한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.
![](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