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) |
서양화가 김영식 작가의 100회 개인전이 이달 10일부터 내달 8일까지 대구 소나무갤러리(수성구 지범로 17길 86(수성아트피아옆), 개관 11:00~18:00‧월요일 휴무)에서 열린다.
![]() |
김영식 작가는 1993년 첫 개인전을 연 뒤 30여 년 만인 2022년 12월 드디어 100회 전시회를 열었다. 김 작가는 1993년부터 2003년까지 1년에 한 번씩 10회의 개인전을 열어오다 2004년부터는 매해 4번씩 개인전을 열어 오늘에 이르렀다.
![]() |
동양의 피카소라 불리는 김영식 화가의 그림은 보는 사람의 마음을 맑아지게 하는 힘이 있다고들 한다. 파스텔과 원색 등 밝은 색감의 그의 그림은 자연을 소재로 다정함, 나눔, 따스함을 형상화했다. 이번 100회 전시회에는 작가가 지난 30년 세월 동안 빚어온 꿈이 담긴 작품 40 여점을 선보인다.
![]() |
전시회 첫날인 10일 오후 3시 오픈식에는 김천미협 도재모 회장을 비롯한 회원들과 서울, 순천, 부산, 대구 등 전국 각지에서 많은 내빈이 참석해 100회 전시회를 축하했다. 갤러리 관장의 환영사, 작가 인사말, 축사, 축하케이크 절단, 행운권 추첨 등의 순으로 별도의 축하퍼포먼스 없이 간소하게 진행됐다.
![]() |
“숨어있어 가려져있어 더 빛나는 색이 있다.
그 꽃이 아름다운 것은 그 꽃이 내 가슴속 아름다움을 바라보기 때문이다.
보이지 않아도 들리지 않아도 그 기도는 늘 내 가슴에 아름답게 빛난다.”
김영식 작가의 작가노트 일부이다.
![]() |
100회 전시회를 연 데 대해 “저는 살아오면서 운이 참 좋았다. 좋은 분들의 도움을 받아 100회까지 무사히 전시를 치를 수 있게 된 것에 감사드린다”는 김 작가는 “지난 30여 년간 그림 그리는 일에만 몰두해 왔다. 1년에 4번의 전시회를 열기 위해서는 적어도 80여 작품을 완성해야 한다. 몸이 아프거나 컨디션이 안 좋아도 늘 붓을 잡았다. 붓을 잡고 그림을 그리다 보면 거기에 빠져들어 내 기분이나 아픔도 잊게 된다”며 100회까지의 전시회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던 과정을 밝혔다.
|
“꽃을 그려도 그것은 단순한 꽃이 아니다. 사과를 그려도 그것은 단순한 사과가 아니다. 그것은 하나의 꿈 속 실물로 보인다. 이미지 자체에서 생성되는 빛이 다르다. 모든 그림이 살아있어 금방이라도 움직일 것 같다. 별, 그것도 금방이라도 날아올라 하늘에서 빛날 것 같다.…중략…김영식의 그림은 김영식의 세계뿐이다. 다른 사람에게는 없다. 그림을 본 순간 김영식의 철학이 완성돼 있음을 보게 된다. 그림 하나하나 마다에 철학이 완성돼 있다. 패턴은 보통 10년 주기로 바뀌는데 김영식의 그림은 변할 수가 없다. 그림 자체의 느낌이 늘 미래에 가 있기 때문이다.”
정현도 미술평론가의 김영식 작가의 작품에 대한 평이다.
![]() |
김 작가의 지인들에 따르면 그는 평소 어느 자리에서나 늘 노트와 펜을 가지고 다니며 순간순간 떠오른 작품 구상이나 감정을 메모로 남기는 습관이 있다.
![]() |
그동안 적어왔던 좋은 글귀와 자신의 작품들을 모아 엮은 책 ‘그 가슴에 피는 꽃(피터앤폴‧P159‧22,000원)’을 100회 기념 서적으로 펴냈다. 그의 여덟번째 저서이다.
![]() |
김영식 작가는 1958년 부산출생으로 영남대 응용미술학과, 동경학예대학원(미술교육전공)을 졸업했다. 동경겐디자인연구소, 김천대학 교수(1994-2017)를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 누구나 미술가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.
![]() |
저서로는 ‘오늘도 당신을 기다립니다(2002,소담출판사)’, ‘님은 늘 내 가슴 속에 계십니다(2004,21세기출판사)’, ‘색은 꿈이다(2009,도서출판무송)’ 등 다수. 한국은 물론 일본, 중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으며 100회의 개인전을 가졌다.
오픈식행사 더보기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